Surprise Me!

[아는 기자]22일 아침 무슨 일이…尹발언 논란 핵심은?

2022-09-27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송찬욱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윤 대통령 발언 관련해서 무엇이 문제이고 왜 논란인지 다소 복잡한데요. 지금 논란이 되는 게 어떤 대목입니까? <br> <br>크게 세 가지 축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하나가 첫 인지와 보도, 또 하나가 이른바 '받은글' 유포, 그리고 보도유예 시점에 나온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의 발언입니다.<br> <br>Q. 하나씩 살펴보죠. MBC 제3노조와 대통령실은 의도적으로 MBC가 관여했다고 이야기하고 있어요. 바이든 대통령을 언급했다고 처음 내보낸 게 MBC라서 그런가요?<br> <br>논란의 대통령 발언 현장을 촬영한 게 MBC 촬영기자이고, 첫 보도를 한 것 역시 MBC라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고요. <br> <br>해당 발언이 방송사 카메라에 담겼다는 것을 인지해서 알린 게 MBC 대통령실 출입기자였습니다. <br> <br>당시 뉴욕에 있는 프레스센터에 저도 있었는데, 윤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을 조롱하는 듯한 발언이 있다는 사실을 떨어진 거리에서도 들리게 알리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기자들은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48초밖에 만나지 못했다고 해서 대체로 그 영상을 확인하고 있었을 때였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첫 보도를 위한 제작 과정은 MBC 3노조가 밝혔는데요. <br> <br>노조의 성명에 따르면 MBC 디지털뉴스룸 국장이 직접 만들었다는 겁니다. <br> <br>소속 부장이나 기자를 건너뛰고, 영상편집자에게 '바이든으로 들리느냐'고 묻고 동의를 얻자 '바이든'이라는 자막을 단정적으로 넣어서 제작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어떤 근거로 바이든이라고 적시했는지 MBC가 공영방송으로서 밝히는 건 의무라고 얘기합니다. <br> <br>Q. 이 내용이 언론 보도로 나오기 전에 이른바 SNS '받은글'과 녹화된 영상이 유포되기도 했었잖아요?<br> <br>누가 처음으로 받은글을 돌리고, 캡쳐 영상을 만들어 돌렸는지가 이 논란을 풀 핵심 사안인데요. <br> <br>대통령실은 이 역시 MBC를 의심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MBC 제3노조는 MBC가 숨기고 알려주지 않는 일이 있다며 바로 MBC 대통령실 출입기자의 행적이라고 의문을 제기했는데요. <br> <br>노조가 언급한 MBC 출입기자는 앞서 뉴욕 현지 기자실에서 바이든 대통령 조롱 발언이 있다고 알렸다는 그 기자입니다. <br> <br>Q. 오늘 새로 나온 이야기가 이겁니다. 보도가 되기 전에 내가 유포했다라고 손을 들고 나온 사람이 있는데, 민주당 의원실 비서관이라고요? <br> <br>이동주 민주당 의원실의 선임비서관인데요. <br><br>한 인터넷사이트에 아직 엠바고, 보도유예 시점에 '윤석열 대형 사고 쳤네요'라는 제목으로 '대통령실에서 보도 막으려고 하는데 못 막는 분위기'라고 적었고요. <br> <br>MBC 첫 보도가 있기 약 50분 전 '일단 MBC는 내보낸다고 한다'고 했습니다. <br> <br>이어 출처를 묻는 질문에 '현장 취재 가있는 대통령실 출입기자 전언'이라고 답했습니다.<br> <br>Q. MBC로부터 받았다는 건 아니고요?<br><br>해당 비서관은 "해당 영상과 내용, 그리고 MBC가 보도한다는 사실도 MBC 기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받고 들은 것"이라고 <br>해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렇다면 MBC의 보도 계획을 MBC 밖에서 들은 게 되는데요. <br> <br>MBC 제3노조는 민주당 비서관이 어떻게 MBC의 보도 여부를 알고 있었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Q. 해당 비서관 말고도 또 한 명,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가 MBC 첫 보도 전 공개 회의 때 발언을 했잖아요? 박 원내대표가 어떤 지라시를 보고 한 건지는 아직 모르는 거죠?<br> <br>박 원내대표는 오늘 이렇게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수십 명이 있는 자리에서 SNS를 떠돌고 있는 영상을 찾아서 확인하고 발언을 했던 것이 전부입니다." <br> <br>여권 일각에서 제기하는 MBC와의 '정언유착'이 아니라는 건데요.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받은글과 영상이 돌아다녔는데 하필이면 대통령실 쪽에서는 하나도 입수가 안 됐었다"며 "MBC에서 내부 보고한 것을 어떤 경로든지 거의 동시에 알지 않고서 발언을 할 수 있었겠느냐"고 의구심을 나타냈습니다.<br> <br>Q. MBC는 어떤 입장입니까? <br> <br>MBC는 오늘 대통령실이 공문으로 대통령 발언을 특정한 근거, '날리면'을 병기하지 않은 이유, 백악관에 즉시 입장을 요청한 이유 등을 물어왔다고 공개했습니다. <br><br>MBC는 그러면서 "언론 자유를 위협하는 압박으로 비칠 수 있어 매우 유감스럽고 우려스럽다"며 "MBC를 희생양 삼아 논란을 <br>수습하려는 것 아닌가 의구심마저 갖게 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Q. 대통령실의 질의에 대한 답은 있었나요? <br> <br>없었습니다. <br> <br>Q. 이 논란과 함께 민주당에서는 박진 외교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냈는데, 다수당이라서 모레 처리는 할 수 있을 것 같거든요. 해임건의안 통과되면 어떻게 되는 거예요? <br> <br>대통령이 장관을 해임해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가 해임건의안을 통과시켰는데, 이를 묵살한다면 대통령이 정치적 부담을 안고 가야 합니다. <br> <br>이런 효과를 민주당이 노렸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2003년 노무현 정부 시절 김두관 당시 행정자치부 장관은 해임건의안이 통과되자 장관직에서 사퇴했던 반면, 2016년 박근혜 정부 시절 김재수 당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이 통과됐을 때 박 전 대통령은 해임하지 않았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